전체 글 9

빌라낙찰 처분기(3차) 근생빌라 반지하?

수도권의 부동산을 뒤돌아보면 2013년도가 바닥권이였더라. 13년 초에 지방의 법원에서 경매하시는 분을 만나서 수도권에 신축빌라를 10여개를 받은 것 같다. 인천법원의 경우 한주일동안 계속되는 입찰에서 차순위로 노친 물건은 수도없었던 이유는 유치권의 신고됨을 핑게로 감정가의 70% 를 고수하다보니 낙찰이 요원하였다. 그런 와중에 서울남부법원에 서울의 외각인 은평구의 한 언덕위에 신축된 빌라가 건헐적으로 경매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이미 한 건을 낙찰 받았던 차라서 이번 물건의 경우에 내부사정을 어느정도 파악한 상황이였다. 물건종류상 다세대 빌라로 전용면적 18평(58.59m2)으로 감정가는 15800만원이였고 감정가의 64%(1억110만원)까지 저감되여 1명이 74%(1억1700만원)에 단독입찰로 경락받았으..

빌라낙찰 처분기(2차)

그러니까, 2013년에 서울에서는 가장 변두리라고 할 수 있는 이곳 은평구에 신축빌라로서 신축시 대출된 신축자금의 채권을 변제받기 위하여 채권은행에서 간헐적으로 동종의 물건에 대하여 경매를 진행하고 있음이 나의 눈에 들어왔다. 당시 나는 초보의 태를 벗지 못하였지만 용감하게 몇 차례 입찰하여 인천지역 등에 3건을 낙찰 받아서 1년여 보유하고 있던 차였다. 이건은 신축시 공사관련 유치권이 신고되였고 진성인지는 모르겠으나 준공뒤에 보증금 2천만원에 월70만원의 임차인이 점유하여 배당을 신청하였다면 진성의 유치권이라도 유치권은 해제됨으로 판단하고 망설임 없이 입찰을 강행하여 단독에 가까운 경쟁(2명)으로 본건을 65%(190,000,000/123,000,000)에 낙찰받아서 점유중인 임차인과 즉시 계약하고 지..

처음 시작하는 나의 경매 주안점

먼저 저가 낙찰이 어려움으로 이를 고려하여 다음의 사항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저는 아파트 투자금이 부족하기에 수도권의 국민주택 규모 이하 빌라들 중에 준공 5년 전후의 사건에 여러세대가 진행되는 분양에 실패하거나 유치권이 신청된 사건을 찿아서 수도권(서울,경기,인천)과 거주지 주변(충정도)을 배회하였다. 한 사건으로 여러세대가 나오는 뭔가 부족한 다세대주택을 배회하며 저가(70%) 낙찰에 주력하였다. 이러한 주택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임장을 하고 입찰을 반복하였으나 생각대로 낙찰되는 사례는 많지 않았으나 그래도 몇 건을 낙찰 받아서 보유하다가 몇 건은 매도하였으며 현재도 일부는 보유 중이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모든 부동산이 정도에 차이는 있으나 크든 작든 다 올랐고 또 오르고 있기에 보유에 문제는 없..